본문 바로가기

여행

대구의 명소, 팔공산 드라이브코스 대구의 명소, 팔공산 드라이브코스 명산중의 명산으로 알려진 팔공산은 1년 내내 관광객, 산행객, 불자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곳이죠. 대구, 칠곡군, 경산군에 광활하게 걸쳐 있는 팔공산은 인근 마을부터 산꼭데기까지 모든 것이 볼거리이며, 수많은 사연들이 깃들어 있답니다. 또 많은 위락시설단지, 편의시설, 주차시설, 먹거리 명소들이 잘 갖추어져 있어 언제라도 편안하게 관광할 수 있는 것이 큰 장점이예요. 드라이브만으로도 더할수 없는 감흥으로 잊지 못할 추억이 되겠지만 길가 중간 중간 마련된 무료주차장에 잠시 차를 쉬게 하고온통 샛빨간 단풍길을 연인, 다정한 친구, 가족과 걸으며 쌓인 단풍잎, 은행잎을 주워 보고 밟아 보면 꿈길이 따로 없음을 느끼게 된됩니다. 가을을 맞아 강렬한 원색의 단풍으로 불붙기 시작..
[부산 그리고 겨울바다]숨겨진 바다 명소 - 절경 드라이브 코스 [부산 그리고 겨울바다]숨겨진 바다 명소 - 절경 드라이브 코스 동해와 남해의 푸른 물결이 감싸고 있는 부산의 바다는 해안도로 가 잘 발달된데다 절경이 많아 겨울철 드라이브 코스로도 제격이 다. 특히 기장군 대변항에서 죽성마을에 이르는 3.5㎞의 해변도로(사 진)는 잘 알려져있지 않아 서행하면서 여유롭게 겨울바다를 감상 할 수 있는 호젓한 길. 왕복 1~2차선 도로변에는 식당과 횟집,포 장마차가 많아 해산물 등 먹거리 여행도 가능하다. 승용차 안에서 검푸른 동해물과 힘찬 파도의 흰 포말을 볼 수 있어 드라이브만 으로도 심신의 피로가 가신다. 아침에 서두르면 길가에서 일출도 맞이할 수 있다. 해안 곳곳에 펼쳐진 기암괴석과 크고 작은 갯바 위의 풍광은 압권. 고산 윤선도가 7년간 유배생활을 하며 시 6편 을..
방조제 따라 달리는 충남 드라이브 코스 방조제 따라 달리는 충남 드라이브 코스 서해안 고속도로가 생기면서 충남 당진군과 태안군은 주말이면 당일치기 여행과 드라이브를 즐기기 위한 여행객으로 북새통을 이룬다. 7.3㎞의 서해대교에 들어서면서 본격적인 드라이브가 시작된다. 서해안 고속도로를 벗어나면 한적한 국도와 지방도를 따라 2시간 정도의 드라이브 여행을 즐길 수 있다. 서해대교를 지나자마자 송악IC를 빠져 나와 석문방조제 왜목마을 대호방조제를 달리는 코스는 정말 환상적이다. 송악IC에서 38번 국도를 따라 가면 한보철강이 나오고 다시 29번 국도 성구미방면으로 우회전한 뒤 석문방조제 이정표를 따라 가면 대호방조제까지 이른다. 동양 최대를 자랑하는 석문방조제를 우측에 끼고 직선으로 달리는 10.6㎞의 드라이브는 환상 그 자체다. 방조제 중간마다 ..
국내최대의 인공호수 일산호수공원 국내최대의 인공호수 일산호수공원 호수공원은 일산신도시 택지개발사업과 연계하여 조성한 근린공원으로서 국내 최대의 인공호수를 만들어 도시인이 접할 수 없었던 자연 생태계를 재현하고 다양한 주변경관 및 호수를 이용한 레크레이션 공간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특히 호수를 중심으로 한 4.7km의 자전거도로와 8.3km의 산책로는 시민들의 산책과 운동장소로 각광받고 있으며 매년 고양꽃 전시회와 3주년 주기로 고양세계꽃박람회가 개최되는 장소로 수도권은 물론 세계적인 명소로 자리잡아 가고 있는 공원입니다. [호수공원개요] - 공원명칭 : 일산호수공원(일산 16~18호 도시근린공원) - 소재지 : 일산동구 장항동 906 - 조성기간 : 92. 12. 31 ~ 95. 12. 28 - 조성비 : 255억원(순공사비) [호수공..
서오릉 [ 西五陵 ] 서오릉 [ 西五陵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신도동에 있는 조선시대 5개를 합한 능호(陵號). 유형 : 유적 시대 : 조선 성격 : 능호 건립시기/연도 : 1757년(영조 33) 규모(면적) : 55만 3616평 소재지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용두동 475-95 문화재 지정번호 : 사적 제198호 문화재 지정일 : 1970년 5월 26일 사적 제198호. 서오릉이 능지(陵址)로 선택된 계기는 1457년(세조 3) 세자였던 원자(元子) 장(璋 : 뒤에 덕종으로 추존됨)이 사망하자 풍수지리설(風水地理說)에 따라 능지로서 좋은 곳을 찾다가 이 곳이 추천되어 부왕인 세조가 답사한 뒤 경릉(敬陵)터로 정하여짐으로부터 비롯된다. 그 뒤 1470년(성종 1) 덕종의 아우 예종과 계비(繼妃) 안순왕후 한씨(安順王后韓氏..